유랑하는 나그네의 갱생 기록

だけど素敵な明日を願っている -HANABI, Mr.children-

Devlog 4

[AWS] 프로젝트 초기 EC2 인프라 작업

AWS? AWS EC2(Amazon Elastic Compute Cloud)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가상 서버를 쉽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EC2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컴퓨팅 리소스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초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관리 효율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팀 프로젝트할 때 로컬 환경에서만 작업하다가 클라우드 환경으로 옮겼었는데 엄청 편리해졌습니다..부트캠프에서 프로젝트할 때 EC2를 지급받는데 시간이 좀 걸렸었는데,"어? 내 컴퓨터에서는 되는데 왜 님 컴에서는 안됨?"같은 상황이 많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EC2를 받고 인프라 세팅을 하고 나서는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죠. 그러니 ASAP.. 초기 인프라 작업을 ..기본 Setting 노션에..

Devlog/Infra 2024.07.28

[Spring Boot] Properties Encryption

Properties 암호화의 중요성? 첫 번째 프로젝트 발표를 마쳤을 때, 그동안 했던 프로젝트를 GitLab에서 GitHub로 미러링 하는 과정에서 GitGuardian으로부터 메일이 왔었습니다. 외부로 공개되어서는 안 될 value가 노출이 되었던 겁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에서는 application.properties에 담겨있는 value들에 대해 암호화 처리를 하지 않았었죠.. 첫 프로젝트라 다들 어수선하기도 했고 미러링에 문제가 생기자 팀원 중 한 명이 properties 파일을 제거해 버렸습니다..  처음부터 properties에 대해 암호화를 적용시켰더라면 이러한 불상사를 막을 수 있었을 텐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두 번째 프로젝트부터는 인프라 세팅을 하면서 스켈레톤 프로젝트의..

Devlog/SpringBoot 2024.07.18

[Spring Boot] WebSocket 뜯어보기 - 0 (Prologue)

⚠︎ 주의 ⚠︎1. 코드에서 악취가 날 수도 있습니다.2. 작성자도 다시 꺼내보기 어려운, 오래전에 작성한 코드입니다. (3년 전)3. "어? 이거 어디서 본 코드 같은데" 네, 맞습니다.Prologue 안녕하세요. 포트폴리오 만들 겸 경험 정리할 겸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저는 어쩌다 보니 프로젝트 3개를 진행하면서 전부 웹소켓을 담당했습니다. 이전 플젝의 리팩터링은 생각지도 못했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조금씩 변형만 했습니다. 이제 와서 제 코드를 살짝 들춰보니 무슨 괴물을 만들어냈는지 모르겠습니다..그래서? 그래도 그때 나름대로 회의하면서 "이렇게하면 성능 최적화가 되는 건가?"하고 구현만 했었는데 .. 성능 테스트도 못했고 만족스러운 결과도 얻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이 시리즈는 ... 총..

Devlog/SpringBoot 2024.07.13
1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