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랑하는 나그네의 갱생 기록

だけど素敵な明日を願っている -HANABI, Mr.children-

반응형

Study 26

[Python] Live Test를 위한 코드 뭉치

IntroPython은 학부생 때 잠깐 만졌다가 멀리했었는데, 이번에 Live Test를 보게 되면서 기억을 되살릴 필요가 있어서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건 Python 사용 경험이 있고, 구글링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간단하게 문법 정도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할 생각입니다.빠르게 시작하겠습니다. 본론Python SyntaxPython Runtime 확인(base) ☁ python python --versionPython 3.9.10 기본 문법 & 자료형x = 10 # 타입 선언 없음f = 3.14s = "Hello, World!"a = Falseb = Trueprint("---- Swapping Variables ----")a, b = b, aprint(a, b) # True..

Study/Python 2025.09.19

[JSP] 게시판 만들기

Intro2000년대 감성을 좋아하는 편.게시판 만들 때마다 이때로 회귀하는 기분입니다.잘 보면 2002년에 jsp를 쓰고 있어.. 저 때는 스프링도 나오기 전이라 jsp가 최신 기술이었겠죠. 사전작업생각해 보니, 인덱스를 개념으로만 숙지하고 있었지 프로젝트에 적용을 제대로 못해본 거 같아서 이번에는 인덱스도 걸어보도록 합시다.INSERT, DELETE, UPDATE가 자주 일어나지 않는 컬럼에 적용하면 됩니다. 생성일자(created_at)같은 것들 말입니다.postsmysql> CREATE TABLE posts ( -> id BIGINT PRIMARY KEY AUTO_INCREMENT, -> title VARCHAR(200) NOT NULL, -> content TEX..

Study/Java 2025.09.10

[JSP] 세션 기반 로그인과 회원가입을 만들어보자

IntroCookie와 Session의 차이는 CS Study를 하고 있다면 지겹도록 많이 봐왔을 겁니다. 심지어 직무 기술 면접 문제에서도 Cookie와 Session의 차이와 각각의 특징을 적어보라는 경험도 있었어요. (대기업 면접이었습니다 ㅎ-ㅎ) 세션도 결국에 쿠키를 쓰기에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둘의 차이를 가볍게 짚고 넘어가자면, 사용자 정보를 클라이언트/서버 둘 중에 어디에 두고 있느냐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습니다. 사전 작업먼저 유저 테이블을 만들어보겠습니다.mysql> show databases;+--------------------+| Database |+--------------------+| information_schema || mysql ..

Study/Java 2025.09.09

[JDBC] JDBC 연결 테스트와 MyBatis 설정 해보기

IntroIntelliJ에서 알고리즘/프로젝트 하다가 eclipse로 코드를 뚝딱뚝딱 거리고 있으니 버티질 못하겠습니다. JSP에서 방향키로 커서를 옮길 때 간헐적으로 느려짐 현상이 대체 왜 발생하는 건데...음, JSP를 복습하는 것에는 딱히 불만은 없습니다. 네이버에서도 Legacy한 코드를 많이 다룬다고 본 거 같기도 하고. 이번 포스트에서는 정말 정말 간단하게 JDBC를 연결해보고 MyBatis로 넘어갈 겁니다. Java DataBase Connectivity. JDBC는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바 API 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쿼리 하거나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공하죠. 연결 테스트만 해볼 것이니 일단 사전 작업부터 들어갑시다. 의존성을 추가합시다. ..

Study/Java 2025.09.09

[JSP] JSP와 친해지기

Intro 음, page directive를 이용하면 자바 코드를 JSP에서 작성할 수 있다고 합니다. 관련된 속성은 아래에 표를 첨부해 두었습니다. import 속성을 제외한 나머지 속성은 1회씩만 사용 가능합니다. 속성명설명초기값language사용할 프로그래밍 언어javacontentType생성할 문서의 콘텐츠 유형text / htmlpageEncoding페이지에 대한 인코딩 설정EUC-KR / ISO-8859-1import사용할 자바 클래스 추가 session세션 사용 여부trueinfo페이지에 대한 설명 작성(주석처럼 이용) errorPage예외 발생시 이동할 페이지 설정 isErrorPage오류페이지로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false 일단, 이번 포스트에서는 에러 페이지 포워딩부터 해..

Study/Java 2025.09.09

[JSP] Java/JSP 프로젝트를 위한 eclipse 환경 설정

Intro오랜만입니다. 그동안 AWS SUMMIT 2025도 다녀오고, 게시할만한 주제들도 많았지만 글을 작성하지 않은 이유를 말해보자면..이미 인터넷은 죽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아주 오래전부터 텍스트 짜깁기로 스타크래프트 립버전 1.16.1 다운 따위의 트래픽을 위한 낚시성 스팸 게시글들이 판을 치고 있었지만... 검색 단계에서 필터링하기가 쉬웠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일방적이고 의미 없는 댓글을 달고 있는 봇들이 너무나도 많이 돌아다닙니다. 심지어 게시글의 내용을 요약 + 간단한 안부 인사를 하는 봇도 있죠. 게시글조차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기반으로 한 양산형 GPT 게시글들도 많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티스토리 자체에서 그런 스팸 봇들을 차단할 수 있는 IP 필터링 기능도 제공하고 ..

Study/Java 2025.09.08

[Python] 로또 번호 분석으로 추첨번호를 만들어낼 가치가 있을까 (feat. 스피또, 트리플럭)

최근 일확천금으로 억만장자가 되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거창한 건 아니구요."코인이나 주식을 하려니 시드 머니가 없는뎁쇼 ?-?" ... 그러면 시드 머니를 만들면 되는 거 아닌가?   그런데 경마장 가서도 한 번도 못 딴 사람이 운으로만 승부하는 도박판에서 이길 수 있는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유난히 소소한 행운은 잘 따라주는 편이지만, 각 잡고 하는 도박에는 영 소질이 없습니다. 소소한 행운이라 하면 에피소드야 많습니다. 게임 스타팅 뽑기라던가 한정 가챠 운이 좋아서 상위 랭크까지 찍고 접은 모바일 게임들이 많았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학부생 1학년 때 "4년치 학생회비를 내지 않으면 행사에 참여할 수 없다"는 소리에 끝까지 안 내고 버티고 있었지만, 신입생 환영회 당일에 명단을..

Study/Python 2024.12.29

[Github] 토이 프로젝트를 위한 Issue Template & PR Template 설정 (+ Github Projects)

얼마 전부터 토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인 프로젝트라 규모는 작긴 한데, 예전 프로젝트에서 다뤄보고 싶었던 WebClient를 기반으로 매주 특정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프로젝트라 꼼꼼하게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팀 프로젝트는 Jira와 Gitlab을 기반으로 진행했었지만 이번에는 오로지 Github의 기능만을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Github의 Projects에는 Jira에서 사용하는 Epic과 같은 기능이 없긴 하지만, 이슈에 도메인 명시 + 관련 요구 사항을 구체적으로 작성해 두면 충분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또한 Jira에서 사용하였던 Backlog 기능도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데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이전 프로젝트에서는 Jira와 Gitlab을 연동할 때는 Jira의 ..

Study/Github 2024.12.14

[Java] HashMap의 데이터 관리?! Linked List와 Red-Black Tree의 전환 과정!

제 블로그는 대체로 즉흥적으로 글 쓰는 용도라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시리즈가 연재가 되지 않는다 싶으면 다른 관심사가 생긴 것입니다. 그래도 이렇게 지나가면서 이어나가니까 기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꼼꼼하게 준비하려다 보니 늦어질 때도 있어요. 2024.09.14 - [Study/Java] - [Java] HashSet과 HashMap 성능 차이 [Java] HashSet과 HashMap 성능 차이몇 달 전에 알고리즘 문제를 풀었는데 이상하게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 분명 로직은 맞는데 HashMap을 쓴 코드와 HashSet을 쓴 코드의 성능 차이가 많이 났습니다. 왜 Why? 지금부터 여기에 대해서claris.tistory.com 예전 게시글에서 HashSet과 HashMap의 성능 차이에 대해서 ..

Study/Java 2024.12.01

[Java] 직렬화(Serialization)와 역직렬화(Deserialization)

Java에서 직렬화(Serialization)와 역직렬화(Deserialization)는 객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 직렬화와 역직렬화를 왜 사용해야 하는지, 그 동작 원리와 실질적인 활용 사례를 다루겠습니다. 그리고 직렬화 과정에서 사용하는 transient 키워드와 serialVersionUID의 역할 및 설정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Serialization?직렬화(Serialization)란 Java 객체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객체를 파일에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객체의 상태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전송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직렬화의 목적1. 데이터 영속성..

Study/Java 2024.11.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