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랑하는 나그네의 갱생 기록

だけど素敵な明日を願っている -HANABI, Mr.children-

전체 글 71

AW 2025 후기

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5! 최근 스마트 공장•자동화산업전을 다녀왔습니다. 일처리도 할 겸, 겸사겸사로! 바이어는 아닌 일개 관람객이지만, Buyer 명찰을 주더군요? 더군다나 첫날이라 그런지 담당자분들이 B2B적으로 접근하셔서 조금은 당황했지만요. 그래도 즐거웠던 후기.  뭔가 작년에 봤었던 AIoT 전시회보다 볼 게 많아서 좋았습니다. 아무래도 이쪽은 물류 쪽이다 보니까 관절 로봇이라던가, 운송 로봇이라던가 하는 것들이 많았습니다. 생각보다 빠르고 정교하게 움직인다고? 그래도 아직까지 인력을 많이 쓰는 걸 보면 현재는 로봇보다 인력이 더 싼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결국 인력이 완전 대체되는 날이 오겠죠..  HIKROBOT제일 인상 깊었던 부분은 ..

etc./Activities 2025.03.24

ADsP 합격 후기

왜인지 모르겠지만 응시하러 가는 발걸음이 무거웠다.  다시 돌아왔습니다. 2월 22일에 ADsP를 응시하고 말이죠. 이번에는 수험표를 출력해서 들고 갔습니다. 암기할 것이 많아서 SQLD때처럼 도저히 수험 번호는 못 외우겠더라구요. ADsP도 SQLD와 마찬가지로 합격 발표일 일주일 전에 사전점수를 공개합니다.  시험 문제는 총 3과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 분석이 문항수가 가장 많습니다. 제일 많이 학습해야 할 과목이고, 나중에 데이터를 활용하게 되는 일을 맡게 된다면 조금이나마 도움은 되는 부분이 있을 거라 잘 챙기세요.  응시자격은 "제한 없음" 입니다. 타 전공에 비해 접근성이 좋아서 관련된 자격증이 대부분 응시자격에 있어서 널널한 편입니다. 뭐.. 컴공도 전기기사 정도는 응시가 가능하다지만,..

日常/勉強 2025.03.15

節制

Champagne SupernovaLong time no see!올해의 키워드 -節制-를 가지고 돌아왔습니다. 망가진 도파민 수용체를 복구하기 위한 과정이며, 앞으로의 커리어 설계를 위한 단계입니다.사실, 수년 전에도 크게 한두 번 거쳐온 단계이긴 합니다만.. 금욕과 게임이었죠.  지금도 잘 끊었다고 생각하는 건 '리그 오브 레전드 계정 영구 탈퇴'입니다. 상위권 티어는 아니었지만 그래도 나름 평균 이상 실력으로 몰입했었던 게임입니다. 팀활동에서 팀원이 삐걱거려도 멱살 잡고 끌고 가겠다는 삶의 태도는 여기서 비롯되었습니다.  나름 이쁜 스킨들도 많이 샀었는데 스킨 값만 50만원 정도 들었습니다. 원딜이랑 딜서폿 위주로 했었고, 라인전 스트레스받을 때는 정글을 많이 돌렸습니다. 학부생 2학년 시절에는 편히..

日常/就職 2025.02.20

Adieu! 2024 🍀

이승윤 - 언덕나무 20대 중반의 마지막 날. 이제는 정말로 20대 후반이 되었습니다. 2024년은 어땠나요?후회가 남는 일도 있었을 테고, 즐거웠던 일들도 있었을 겁니다.이제는 되돌릴 수 없겠지만요. 그 한순간 한순간 한순간의 자취들은 영원히 남을 것입니다. 숨이 멎기 전까지는. 2024년 중반에 적었던 글귀는 작년부터 품고 있었던 생각입니다. 정신 나간 사람처럼 보일 때도 있었고, 믿음직한 사람처럼 보일 때도 있었습니다. 여러 가지 페르소나를 달고 다니면서도 아주 오래전부터 찾고 있었던 정체성 은 아직 못 찾았습니다. 저는 고향이 없습니다. 그래서 한 곳에 정착하고 싶은 소망은 있는데 어디가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옛 것에 집착하는 건 여기서 파생된 버릇일까요? 음악도 00년대 초중반에 유행하..

日常/就職 2024.12.31

[Python] 로또 번호 분석으로 추첨번호를 만들어낼 가치가 있을까 (feat. 스피또, 트리플럭)

최근 일확천금으로 억만장자가 되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거창한 건 아니구요."코인이나 주식을 하려니 시드 머니가 없는뎁쇼 ?-?" ... 그러면 시드 머니를 만들면 되는 거 아닌가?   그런데 경마장 가서도 한 번도 못 딴 사람이 운으로만 승부하는 도박판에서 이길 수 있는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유난히 소소한 행운은 잘 따라주는 편이지만, 각 잡고 하는 도박에는 영 소질이 없습니다. 소소한 행운이라 하면 에피소드야 많습니다. 게임 스타팅 뽑기라던가 한정 가챠 운이 좋아서 상위 랭크까지 찍고 접은 모바일 게임들이 많았습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학부생 1학년 때 "4년치 학생회비를 내지 않으면 행사에 참여할 수 없다"는 소리에 끝까지 안 내고 버티고 있었지만, 신입생 환영회 당일에 명단을..

Study/Python 2024.12.29

[Hacknet] 툴 키디가 되...

게임은 게임 불감증 때문에 손도 안 대고 있었는데, 반년 전에 짧게 했던 게 Buckshot Roullette이라는 인디 게임이었습니다. 단판으로 도박 요소를 즐길 수 있다는 게 좋았습니다. 그러다가 어제 스팀 라이브러리를 둘러보다가 Hacknet이 보여서 잠깐 플레이해 보았습니다. Hacknet?Hacknet은 터미널 기반의 몰입형 해킹 시뮬레이터입니다.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만 다뤄서 플레이하는 데는 별 문제없었습니다. 리눅스 명령어를 따로 숙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help 명령어로 명령어 리스트를 볼 수 있어서 플레이하는 데 지장은 없습니다. 그래도 파일 처리 관련 리눅스 명령어는 한번 복기하고 가도 괜찮겠죠? 파일 관련 리눅스 명령어 모음1.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ls : 디렉토리 목록 확인 ls -..

etc./Game 2024.12.22

[Github] 토이 프로젝트를 위한 Issue Template & PR Template 설정 (+ Github Projects)

얼마 전부터 토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1인 프로젝트라 규모는 작긴 한데, 예전 프로젝트에서 다뤄보고 싶었던 WebClient를 기반으로 매주 특정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프로젝트라 꼼꼼하게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팀 프로젝트는 Jira와 Gitlab을 기반으로 진행했었지만 이번에는 오로지 Github의 기능만을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Github의 Projects에는 Jira에서 사용하는 Epic과 같은 기능이 없긴 하지만, 이슈에 도메인 명시 + 관련 요구 사항을 구체적으로 작성해 두면 충분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또한 Jira에서 사용하였던 Backlog 기능도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데에는 큰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이전 프로젝트에서는 Jira와 Gitlab을 연동할 때는 Jira의 ..

Study/Github 2024.12.14

[BOJ] 9202 Boggle - Java

1. 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92022. 문제 풀이 생각보다 플래티넘 V 정도의 문제들은 정석적인 풀이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도 풀리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 문제도 [BOJ] 14942 개미 문제와 같이 DFS로 풀렸습니다. 입력으로 단어들이 300,000 미만 정도의 개수로 주어지는데, 솔직히 시간제한과 메모리 제한이 각각 10초와 512 MB로 매우 널널합니다. 저는 트라이(Trie)와 DFS를 사용한 풀이보다는 Set을 활용한 DFS를 채택하였습니다. HashSet에 모든 단어를 저장한 후, DFS를 통해 단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며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이렇게 구현한 이유는 HashSet의 탐색 속도가 평균적으로 O(1)에 가깝고, 단어 길이가 ..

etc./BOJ 2024.12.10

[BOJ] 14942 개미 🐜 - Java

1. 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149422. 문제 풀이 이 문제에서는 방의 개수 최댓값이 100,000으로 주어집니다. 보통 input 값으로 10만 이상의 단위가 나오게 된다면 단순 구현으로는 못 푸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원래라면 희소 배열(Sparse Table)이라는 개념을 적용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이긴 합니다만. 이 문제는 단순 DFS로 풀립니다! 물론 아직 푼 사람이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닌 데다가 추가 테스트 케이스가 있어야 플래티넘다운 문제라고 할 수 있겠는데 ..   static void dfs(int node, int parentNode) { parent[node] = parentNode; for (Edge edge : g..

etc./BOJ 2024.12.08

[Java] HashMap의 데이터 관리?! Linked List와 Red-Black Tree의 전환 과정!

제 블로그는 대체로 즉흥적으로 글 쓰는 용도라 이전 포스트에 이어서 시리즈가 연재가 되지 않는다 싶으면 다른 관심사가 생긴 것입니다. 그래도 이렇게 지나가면서 이어나가니까 기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꼼꼼하게 준비하려다 보니 늦어질 때도 있어요. 2024.09.14 - [Study/Java] - [Java] HashSet과 HashMap 성능 차이 [Java] HashSet과 HashMap 성능 차이몇 달 전에 알고리즘 문제를 풀었는데 이상하게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 분명 로직은 맞는데 HashMap을 쓴 코드와 HashSet을 쓴 코드의 성능 차이가 많이 났습니다. 왜 Why? 지금부터 여기에 대해서claris.tistory.com 예전 게시글에서 HashSet과 HashMap의 성능 차이에 대해서 ..

Study/Java 2024.12.01
320x100